[생활과 윤리]02.전통 윤리와 윤리 문제 탐구/전통윤리/유불도/
★ 전통 윤리와 윤리 문제의 탐구 ★
GaDeun 블로그를 찾아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회탐구 과목 "생활과 윤리" 시험에 잘 나오는 유형들을 콕콕 찝어서 공부해보도록 할까요?
[생활과 윤리의 모든 부분을 다루지는 않습니다.]
전통 윤리와 윤리 문제 탐구
1)전통윤리 본질, 기본 이론
ⓐ 원시신앙
-정령신앙 : 모든 사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음
-토템 신앙: 동식물아나 자연물을 숭배함.
-경천사상: 하늘을 우주 만물을 다스리는 절대자로 보고
하늘이 인간을 사랑하듯 하늘을 닮아 사람들을 사랑하는 것
-무속신앙: 무당이 주술을 통해 인간이 신령과 소통하게 하고 만물에 흐르는 기운과 하나가 됨
ⓑ풍류도 (최치원)
-우리 조상의 고유한 가치인 풍류를 언급하면서 유, 불, 도의 내용을 포함하여 주장
ⓑ유교
-수기안인(修己安人): 자신을 수양하고 남을 편안하게 한다.
-호제충신(孝悌忠信):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불교
-공(空): 고정적인 것에서 벗어나 모든 세속적인 속박으로부터 해탈
-인연(緣起):모든 사물은 독립적인 존재가 아닌 서로 여러가지 조건과 관계 속에서 소통함
-자비(慈悲):남을 깊이 사랑하고 가엾게 여김. 또는 그렇게 여겨서 베푸는 혜택.
-화해와 조화 추구:
+ 화쟁(和諍)사상-원효 >다양한 종파와 이론적 대립을 통합하려는 사상
+ 원융회통(圓融會通)-원효 >서로 다른 쟁론을 화합하여 하나로 소통하자는 사상
+ 교관겸수(敎觀兼修)-의천 > 불교에서 교리체계인 교와 실천수행법인 지관을 함께 닦아야 한다는 사상
+ 정혜쌍수(定慧雙修)-지눌 > 선정(禪定)과 교학(敎學)을 같이 닦을 것을 권하는 수행법
ⓒ도교
-무위자연(無爲自然)을 기초로 신선 사상이나 양생을 통한 불로장생의 추구는 무병과 장수를 염원
-자연과 살아가는 것으로 풍수지리설, 도참설(圖讖說)에 영향을 줌
*무위자연(無爲自然):자연에 거스르지 않고 순응하는 태도
cf) 안빈낙도(安貧樂道), 안분지족(安分知足), 단사표음(簞食瓢飮) 과 같은 표현들과 비슷
*불성(佛性) : 불교에서 석가모니의 성품으로 청정무구(맑고 깨끗하여 더럽거나 속된 데가 없음)한 인간의 본래 마음
*연기설(緣起說): 모든 현상은 원인과 조건에 의해 생겨나며, 원인과 조건이 없으면 결과도 없다는 사상 > 상호 의존성
2) 유교, 불교, 도가 윤리 문제 탐구
구분 |
유교 |
불교 |
도교 |
자연관 |
-인간의 도덕적 본성: 하늘 -인의예지(仁義禮智) |
-연기설 > 상호 의존성 -불성(佛性) |
하늘은 자연 그 자체일 뿐 |
인간관 |
-하늘이 부여한 인의예지의 도덕적 본성을 실현하고자 함. -인(仁) 강조 :타인에 대한 사랑, 어진 행동 |
-연기성(緣起性)을 깨달아 일체의 집착에서 벗아나 자비로운 삶 추구 |
-인간은 자연과 구분되지 않음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삶 :무위자연(無爲自然) |
이상적 인간상 |
군자: 수양을 쌓아 도덕적 본성을 확충하고 실천한 사람 |
보살: 탐욕과 집착에서 벗어나 개달음을 얻어 지혜와 자비를 갖추고 이를 베푸는 사람 |
지인, 진인: 무위자연의 삶
|
인격도야 |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의 사단 확충 -인의예지의 사덕 함양
|
-모든 것이 공(空)을 깨달아 세속적 집착에서 벗어남 -본래 타고난 불성의 회복 |
-인위적인 삶으로부터의 탈피 -무위자연 추구 |
수신 방법 |
-극기복례(克己復禮)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간다. -신독(愼獨) :홀로 있을 때도 도리에 어긋 나지 않도록 언행을 삼감 -주일무적(主一無適)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흐트러짐이 없다. |
-삼독의 제거 :탐욕(貪), 성냄(瞋), 어리석음(痴)을 제거하고 망상과 집착에서 벗어남 -바라밀 실천: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실천 |
-상선약수(上善若水): 물과 같은 겸허와 부쟁(不齋)의 덕을 갖춤 -좌망(坐忘): 조용히 앉아 잡념을 버림 -심재(心齋): 마음을 비워 깨끗이 함 -허심(虛心): 마음을 정화 |
*사단(四端) 1.측은지심(惻隱之心): 불쌍하고 가엾게 여기는 마음 >인
2.수오지심(羞惡之心):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의
3.사양지심(辭讓之心): 양보하고 공경하는 마음 >예
4.시비지심(是非之心):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 >지
*공(空)사상 : 세상 만물은 인연에 의해 생멸 변화하므로 만물에는 고정된 실체가 없다 >욕망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남
*삼독(三毒):불교에서 깨달음을 얻는데 장애가 되는 탐, 진, 치를 말함.
*바라밀(波羅蜜):고통으로 얼룩진 차안(此岸)으로부터 열반의 경지인 피안(彼岸)에 이르기 위한 수행법>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상선약수(上善若水): 으뜸이 되는 선은 물(水)과 같다 >무위자연
3) 윤리적 성찰과 토론
ⓐ윤리적 성찰: 생활속에서 자기가 가지는 마음, 하는 일, 행동, 발생된 문제에 대해 윤리적 관점에서 깊게 생각하고 살피는 태도
ⓑ토론: 어떤 문제에 사람들이 개인적 성찰을 토대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며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는 윤리적 탐구과정
ⓒ윤리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자세
-역지사지(易地思之):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자세
-혈구지도(絜矩之道): 자기의 처지를 미루어 타인의 처지를 헤아리는 자세
-충서(忠恕):자신의 진심을 바탕으로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자세
[생활과 윤리]중요한 내용 먼저 콕콕 찝어서 공부하자.
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 오늘 배운내용을 잘 복습해서 문제를 통해 실력을 향상시켜보세요.
다음 단원도 이어서 포스트할 예정입니다.
궁금한점이 있으시다면 뎃글로 남겨주시면 정성것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GaDeun Blog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KE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