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Life)/생활

[건강] 비만?, 술, 건강, 다이어트

★ 비만? 술, 건강, 다이어트 ★

GaDeun 블로그를 찾아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비만?

 

 *비만 (obesity)

-정의

 

 

비만인 경우 일반적으로 체중이 많이 나가지만 비만이 아니더라도 근육이 많은 사람은 체중이 많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진단 시 신체비만지수(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한다(서양인은 30 이상이며, 인종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에서는 25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함). 혈장으로부터 지방세포로 유입된 지방산과 포도당이 에스테르화하여 주로 중성지방의 형태로 축적된다.  // 사람의 몸무게가 지나치게 나가는 것을 통틀어 부르는 낱말로서 병리학적으로는 세계 보건 기구 (WHO)에서 정한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가 30 이상인 경우에 비만증이라고 일컫는다. 대부분의 경우, 비만이면 체중이 정상치보다 많이 나가는 것을 뜻하지만, 체중이 그다지 많이 나가지 않더라도 몸의 구성 성분 중 체지방 비율이 높은 것도 비만이라고 한다. 비만은 그 자체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문제는 비만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사회적 장애와, 과다한 지방으로 생기는 2차적인 합병증이다. 비만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지방간, 관절 이상의 발생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 발병위치 : 지방조직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 과정지방세포의 지방 축적 과정

 

-원인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발된다. // 인간의 유전자는 아주 척박한 환경에 알맞게끔 진화되어왔다. 또한 인류가 지금처럼 풍족한 생활을 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인간의 유전자는 처음 인류가 이 땅에 태어난 뒤, 수백만 년 이상을 영양이 부족한 환경에서 살아야 했기 때문에, 남는 에너지를 배설하는 소모적인 시스템은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지방을 에너지 저장원으로 택한 이유도 1그램당 4킬로칼로리 밖에 내지 못하는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에 비해 1그램당 9킬로칼로리라는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정된 육체 속에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려면 에너지 효율이 높은 방식을 선택해야 했고, 생존을 위해 지방은 아끼는 것이 진화적으로 유리한 전략이었다. 이렇게 지방 친화적으로 발달한 인간의 몸이 단시간 내에 바뀌지는 않기 때문에, 오늘 날 많은 사람들은 지방을 줄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진단

 

신체 비만지수(또는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가 25 이상일 때 비만으로 진단한다. (서양인의 경우 30 이상)

세계 보건 기구 (WHO)에서 정한 체질량 지수는 몸무게 (단위:kg)와 일반적인 신장의 cm 단위가 아닌 m 단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한 사람의 몸무게를 키를 제곱한 수로 나누어 소수점 첫자리에 반올림하여 얻은 값이다. 이를테면 몸무게가 70kg이고 키가 170cm인 사람의 체질량 지수는:BMI = \frac{70}{1.70^2} \approx 24.2

신체 비만지수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체질량 지수로 진단

 저체중 : BMI 18.5 이하
 정상 : BMI 18.5 - 24.9
 과체중 : BMI 25 - 29.9
 비만 : BMI 30 이상

 

 

치료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것과 더불어 행동요법이 필요하다. 식이 요법은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평소에 섭취하던 열량보다 500~1000kcal 정도를 덜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사 중의 영양소 조성에 따라 체중 감소 효과에 차이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운동은 체중이 줄어든 후 다시 증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치료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적어도 매일 30분 정도의 운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생활 습관 개선 이외에도 약물을 통해 비만을 치료하기도 한다.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는 크게 식욕억제제와 지방의 흡수를 저해하는 약으로 나눌 수 있고,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약물은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오르리스타트(orlistat) 두 가지가 있다.
시부트라민은 식욕억제제의 일종으로 1년 동안 복용할 경우 평균적으로 약 5~9%의 체중을 줄여준다. 그러나 약으로 인해 두통, 구갈(심한 갈증), 불면증변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혈압과 맥박수가 다소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혈압과 맥박수를 체크해야 한다. 따라서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에는 비만 치료제로 시부트라민을 처방하지 않는다.
오르리스타트는 지방분해효소의 억제제로 체내에서 지방이 소화되지 못하도록 하는 약이다. 따라서 섭취한 지방의 약 30%는 소화 및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몸 밖으로 배출된다. 부작용으로 대변이 자주 마렵거나 지방변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은 환자 스스로가 섭취하는 지방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지방 흡수율의 감소로 인해 장에서의 지용성비타민의 흡수율도 떨어질 수 있으므로 추가로 종합비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수술은 심한 비만 (BMI ≥ 40 Kg/m2)인 환자에서 시행하며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편이다.

 

 

-경과/합병증

 

비만으로 인해 당뇨병고지혈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성기능 장애,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이 커진다. 담석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일부의 경우 암의 발생과도 연관이 있다.

 

예방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비만 예방에 가장 중요하다. 비만은 개인의 생활 습관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패스트푸드, 대중교통 발달, 좌식 생활 증가 등)의 영향도 있으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생활 가이드

 

운동을 위해 특별히 시간을 내기 어려운 경우에는 일상 생활을 하는 동안 활동량을 최대한 늘리도록 한다. 예를 들면 가까운 거리는 걸어 다니고, 승강기 대신 계단을 이용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식이요법운동요법을 강화하기 위해 몇 가지 실천사항을 정하여 꾸준히 실행하는 행동요법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매일 체중을 측정하면서 의욕을 다지고 과식을 피하기 위해서 작은 접시를 사용하거나 텔레비전 앞에서 간식을 먹지 않는 것 등이 모두 행동요법의 일종이다.

 

-식이요법

 

하루 총 섭취 칼로리에서 500 kcal를 줄이면 체중이 1주일에 약 0.5kg 감소할 수 있다. 섭취하는 열량을 줄이기 위해 저칼로리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다이어트 운동법

 

 

 

*여성을 위한 복부운동

 

 


 

여담

 

제 주변에도 많은 사람들이 비만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이어트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분들을 종종 봅니다. 그분들의 특성은 바로 스스로

 

식욕을 조절하지 못하고 일상생활을 하면서 잘못된 습관을 갖고 있고 술을 먹는 분들도 계십니다. 이와 반면에 다이어트에 성공하신 분들의

 

사례들도 여러 들은바가 있는데요. 그분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먼저, 육식을 채식으로 바꾸고 꾸준한 운동과 바른 습관이었습니다.

 

물론 술은 살을 찌게 하는 지름길이고요. 채식으로 하라 하여 무조건적인 채식이 아닌 1주에 1번 또는 2주에 한 번꼴로 돼지고기나

 

소고기가 아닌 오리고기를 먹었다고 합니다.

 

밥의 양을 조금 줄이고 반찬의 간을 조금씩 약하게 하신다면 좀 더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리고기는 돼지고기와 소기고와는 달리 불포화지방이라서 섭취 시 고혈압, 중풍, 토담, 알코올, 빈혈증, 폐병,

 

신경통, 허약체질, 비만증, 병후회복, 관절염, 신장염, 각기병, 부인병, 피부병의 예방과 치료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 괜찮다고 합니다.

 

그렇게 식단을 바꾸고 운동을 꾸준히 하다 보니 거의 30Kg정도 다이어트 했다고 합니다. 여러분도, 주변 분들도 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자신의 몸을 생각해서 식욕을 다스리시고 습관(누워있기, 야식 등)을 바꾸신다면 여러분도 하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다이어트 꼭 이루시길 바랍니다!!

 

 


 

GaDeun Blog

출처: http://www.snuh.org/, 위키백과